https://www.youtube.com/watch?v=_D_sGJSh3a0
Jeremy Segal, professor, it's always good to have you, especially when we see a market doing what it is on these headlines.
제레미 시갈 교수님, 이런 헤드라인들이 나오는 상황에서 시장이 이렇게 움직이는 것을 볼 때 당신을 모시게 되어 항상 좋습니다.
Your reaction is what?
당신의 반응은 어떠신가요?
Well, I think, you know, tariffs are the only negative of Trump's economic agenda, most of which is very good.
음, 제 생각에는 관세가 트럼프의 경제 의제 중 유일한 부정적인 면이고, 대부분은 매우 좋다고 봅니다.
I also, by the way, wouldn't completely give up hope on a settlement.
그리고 덧붙이자면, 저는 합의에 대한 희망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I know a number of people, including myself, that have been in a jury room selected for a jury and we're ready to go.
저를 포함해 많은 사람들이 배심원으로 선정되어 배심원실에 앉아 준비를 마쳤을 때의 경험이 있습니다.
The lawyer comes in the last minute and said, hey, we have a settlement and we all leave.
그런데 마지막 순간에 변호사가 들어와서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라고 말하면 우리는 모두 그냥 나가게 됩니다.
I can't guarantee that.
저는 그런 일이 일어날 거라고 장담할 순 없습니다.
But, you know, you know, the art of the deal for Trump, let's push him to the edge and see what happens.
하지만 트럼프의 '거래의 기술'을 생각해보면, 그를 극한까지 몰아붙여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한번 지켜보자는 거죠.
But clearly, if there, if it is 25, 25, or, and then 10 on China, it, that is a negative impact on the economy and I think on stock prices.
하지만 분명히, 만약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그리고 중국에 10%의 관세가 부과된다면, 그것은 경제와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But then why do you have people like Jamie Dimon, who I think it was in Davos, said get over it, essentially as it relates to tariffs?
그렇다면 왜 제이미 다이먼 같은 사람들이, 제가 알기로는 다보스에서, 관세에 대해 '그냥 받아들이라'고 본질적으로 말했을까요?
Lutnik, as I said, the proposed commerce secretary saying the notion that these are just across the board inflationary is nonsense.
러트닉, 제가 말씀드렸듯이, 상무장관 후보자는 이러한 관세들이 전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생각은 nonsense(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말했습니다.
Well, you know, there, it's, it's not nonsense.
글쎄요, 그것이 말도 안 되는 소리는 아닙니다.
There is some positive effect.
어느 정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Is it a disastrous effect on prices?
가격에 재앙적인 영향을 미치나요?
Probably not.
아마도 그렇지 않을 겁니다.
I mean, I've seen some research that suggests that all those tariffs come in and don't forget trade is only, you know, 10 percent of GDP.
제가 본 몇몇 연구에 따르면, 모든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무역이 GDP의 10%에 불과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And if all those tariffs come in and might raise the price level by a half or three quarters of a percent, and that's a one time increase.
그리고 모든 관세가 부과된다 해도 물가 수준을 0.5%에서 0.75% 정도 올릴 뿐이며, 이는 일회성 인상입니다.
So, you know, I wouldn't call that disastrous, but that certainly reorganizes supply chains, all sorts of sourcing situations.
그래서 저는 이를 재앙적이라고 부르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이는 확실히 공급망과 다양한 소싱 상황을 재편성하게 만듭니다.
And it really depends on how long it lasts.
그리고 이것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느냐에 따라 실제 영향이 크게 달라질 것입니다.
I mean, you know, if he puts it on Saturday, I think a lot of people are going to defer for a few days and then he could reverse it on Monday or Tuesday if another concession is wrangled from Mexico and these other countries.
제 생각에는, 만약 그가 토요일에 관세를 부과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며칠 동안 결정을 미룰 것이고, 그러다 멕시코나 다른 국가들로부터 추가 양보를 받아내면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그 결정을 뒤집을 수도 있을 겁니다.
So it's a, it's a bargaining tool.
그래서 이것은 협상 도구입니다.
Are you going to get enough in exchange for the negative effect of the tariff in and of itself?
관세 자체의 부정적인 효과에 대한 충분한 대가를 얻을 수 있을까요?
And I don't think this play is over yet.
저는 이 상황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봅니다.
Been a wild week, to say the least, given the deep seek story, the headlines, the sell off in tech, what happened earlier in this week and where we are now.
적어도 이번 주는 정말 격동의 한 주였습니다. 딥시크 이야기, 헤드라인들, 기술 주식의 매도, 이번 주 초반에 일어난 일들과 지금의 상황을 고려하면 말이죠.
So how does that color your opinion of the stock market here?
그래서 이런 상황이 주식 시장에 대한 당신의 의견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Well, I think that, you know, cheaper is better for the economy.
글쎄요, 제 생각에는 경제에 있어서는 더 저렴한 것이 좋습니다.
Cheaper is better for any AI user.
AI 사용자에게도 더 저렴한 것이 좋죠.
What cheaper isn't better for our perhaps the high end chip producers.
더 저렴한 것이 좋지 않은 대상은 아마도 고급 칩 생산업체들일 겁니다.
Of course, we all think of NVIDIA as that.
물론, 우리 모두 NVIDIA를 그런 회사로 생각하죠.
And, you know, I'm not an expert in tech.
그리고 아시다시피, 저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아닙니다.
I've been hearing all sorts of stories, you know, can advanced AI be done on deep seeks program?
저는 온갖 종류의 이야기를 들어왔습니다. 딥시크 프로그램으로 고급 AI를 구현할 수 있을까요?
Does it mean advanced AI can be done without the black well chips?
그것이 블랙웰 칩 없이도 고급 AI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의미일까요?
I mean, all these questions need to be answered, you know, autonomous driving, robots, all that.
제 말은, 이 모든 질문들에 대한 답이 필요합니다. 자율주행, 로봇 등 모든 것에 대해서 말이죠.
Can that be done with deep seek type of transformation?
딥시크 유형의 변환으로 그것들을 구현할 수 있을까요?
So I think there's still a lot of questions out there.
그래서 저는 아직도 많은 의문점들이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The basic thing is certainly anything cheaper AI-wise is good for the U.S. economy and good overall for the U.S. market.
AI와 관련해서 더 저렴한 것은 확실히 미국 경제에 좋고 전반적으로 미국 시장에도 좋습니다.
Yeah, you may not be an expert, as you say, in AI and tech, although you sound well versed.
네, 당신이 말씀하신 대로 AI와 기술 분야의 전문가는 아니실 수 있지만, 잘 알고 계신 것 같습니다.
I will just give you that.
그냥 그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And you are an expert, Professor Siegel, on stock market valuations, to which the Fed share himself this week when asked directly about economic conditions, financial conditions, called valuations stretched by almost any measure.
그리고 시겔 교수님, 당신은 주식 시장 가치평가의 전문가이신데,
이번 주 연준 의장도 경제 상황과 금융 상황에 대해 직접 질문을 받았을 때 거의 모든 측면에서 가치평가가 과도하게 높다고 언급했습니다.
Now, he was zeroing in, of course, on tech and on AI and those stocks that have done quite well.
물론 그는 특히 기술 분야와 AI, 그리고 상당히 좋은 성과를 보인 그런 주식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죠.
But what was your view on that comment?
그런데 그 발언에 대한 당신의 견해는 어떠신가요?
Well, so, you know, we talk about 22 as a forward looking PE on S&P.
글쎄요, 우리가 S&P의 선행 주가수익비율(PE)을 22로 이야기하고 있잖아요.
I mean, XMAG7, which is the, you know, 493 other stocks, it's around 19, which I don't think is an unreasonable PE given the entire economy.
제 말은, XMAG7, 즉 나머지 493개 주식들의 PE는 약 19 정도인데, 이는 전체 경제를 고려했을 때 불합리한 수준은 아니라고 봅니다.
So the question is, can the MAG7, which is done unbelievably brilliantly over the last two, three, five, 10 years, maintain its prominence?
그래서 문제는 지난 2년, 3년, 5년, 10년 동안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성과를 보인 MAG7이 그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And of course, what happened Monday says, well, maybe margins can't stay as high for some of them.
그리고 물론, 월요일에 일어난 일은 일부 기업들의 마진이 그렇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But then, again, some of these others are going to be users of it and actually have gone up after the deep seek.
하지만 또 다시, 이들 중 일부는 이것을 사용하게 될 것이고 실제로 딥시크 이후에 주가가 올랐습니다.
So not all MAG7 is going to be negatively affected.
그래서 MAG7 전체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So, yes, MAG7 is a singular event.
그렇습니다, MAG7은 특별한 사건입니다.
We've never had it in the 200 year history of the US stock market.
미국 주식 시장의 200년 역사상 이런 일은 없었습니다.
XMAG7, I do not think the stock market is overvalued.
XMAG7에 대해서는, 저는 주식 시장이 과대평가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But does this threaten that trade, which many people have obviously gone heavily into over the last 18 to 24 months?
하지만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지난 18~24개월 동안 분명히 크게 투자해 온 그 거래를 위협하나요?
Yeah. Well, you know, when the trend and the AI narrative is extremely strong, my research shows that it's very hard to topple a trend.
네. 글쎄요, 트렌드와 AI 내러티브가 매우 강할 때는 그 트렌드를 무너뜨리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 제 연구 결과입니다.
It usually takes more than one blow.
보통 한 번의 타격으로는 부족합니다.
You know, it's like a prize fighter up there, takes a blow with their head and all right, and continues on.
아시다시피, 마치 권투 선수가 링 위에서 머리에 타격을 받고도 계속 싸우는 것과 같죠.
It would take something else, and then it's like a tipping point.
다른 무언가가 더 필요할 것이고, 그때가 바로 티핑 포인트가 될 겁니다.
I'm not saying that tipping point is going to happen.
저는 그 티핑 포인트가 일어날 거라고 말하는 게 아닙니다.
But if all of a sudden people say, hey, I can reproduce the black oil performance with cheaper chips, whoa, then you're on the next side of that story.
하지만 갑자기 사람들이 "이봐, 더 저렴한 칩으로 블랙웰 칩의 성능을 재현할 수 있어"라고 말한다면, 와, 그때는 이야기의 다음 국면으로 넘어가게 되는 겁니다.
And if margins go down on some of these other MAG7 stocks, that becomes the other side.
그리고 만약 다른 MAG7 주식들의 마진이 떨어진다면, 그것이 또 다른 국면이 됩니다.
So this is usually two or three blows to break a trend that is as strong as the AI narrative is.
보통 AI 내러티브처럼 강력한 트렌드를 깨기 위해서는 두세 번의 타격이 필요합니다.
And you could say Monday is blow number one.
그리고 월요일의 일을 첫 번째 타격이라고 볼 수 있겠죠.
Doesn't mean that two or three are coming soon, but it means you've got to be on alert.
두 번째나 세 번째 타격이 곧 올 거라는 뜻은 아니지만, 경계태세를 갖춰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ad Gerstner - 딥시크 시장 영향 분석/스타게이트 영향/딥시크 비용 분석 (0) | 2025.01.30 |
---|---|
레버리지 잠식(Leverage Decay) - 레버리지 장기 투자 주의 사항 (0) | 2025.01.18 |
Tom Lee - 이번 실적 시즌 터닝포인트/이번 조정은 매수 시점/비트코인 전망 (0) | 2025.01.17 |
Jeremy Siegel - 10년물 금리 5%?/올해은 조정의 해/하지만 큰 폭락은 없을 것 (0) | 2025.01.12 |
Tom Lee - 앞으로 몇 달 동안 수익률/소형주 상승이 왜 없었나/양자섹터에 대한 생각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