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8-XbVed2HPo
Joining us right now is Jeremy Siegel.
제레미 시겔 교수님을 모시겠습니다.
He's Professor Emeritus of Finance at University of Pennsylvania's Wharton School of Business.
He's also the chief economist at Wisdomtree.
그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스쿨의 금융학 명예교수이자 위즈덤트리의 수석 경제학자입니다.
And Professor, you say that even though we saw these big moves yesterday, you're not ready to signal the all-clear moment just yet.
교수님, 어제 큰 움직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시장이 완전히 안정되었다고 신호를 보내기엔 이르다고 말씀하셨습니다.
Yeah. Well, Becky, we are much better off than we were at this time yesterday, but it's good off as we were three months ago.
네, 베키, 어제 같은 시간에 비하면 상황이 훨씬 나아졌지만, 3개월 전만큼 좋지는 않습니다.
I don't think so.
Actually, interestingly enough, with the 125% tariff on China, the 10% blanket tariff, the average tariff actually went up yesterday with the raise in China, and JP Morgan calculated at 23%, which right now is higher than the smooth haul tariff at this moment.
사실 흥미로운 점은 중국에 대한 125% 관세와 10% 전반적 관세가 적용되면서, 중국 관세 인상으로 인해 평균 관세율이 어제 상승했다는 것입니다. JP모건의 계산에 따르면 현재 평균 관세율은 23%로, 이는 현재 스무트-홀리 관세법 당시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So we're not out of the woods on the tariff.
따라서 우리는 아직 관세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We'll see what gets negotiated.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It definitely will have to be negotiation with China.
I don't know whether Trump holds as many cards as he thinks.
He holds on that.
중국과의 협상은 반드시 필요할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이 생각하는 것만큼 많은 카드를 쥐고 있는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But I know that Trump will declare a victory.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분명히 승리를 선언할 것입니다.
And by the way, it is good to the extent that he has 75 countries he will be negotiating with.
그리고 참고로, 트럼프가 75개국과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But the shock of what happened, I don't think you can get that out of consumers' mind or investors' mind for quite a while.
And so I don't think we can challenge those February highs for quite some time.
하지만 이번 사건의 충격은 소비자와 투자자들의 마음에서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며, 당분간 2월 최고치를 다시 도전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And again, that is just a situation of people being burned in the past, thinking like, okay, we've got to wait and see how this really falls out.
그리고 이것은 단지 사람들이 과거에 손해를 본 경험 때문에 '좋아, 이번에는 정말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겠어'라고 생각하는 상황일 뿐입니다.
Yeah. Well, but the fact is that you still have a big tariff on you, which is going to raise some prices.
네, 사실 여전히 높은 관세가 적용되고 있고, 이는 가격 상승을 초래할 것입니다.
The fact that, oh my god, this volatility, I hadn't seen that.
또한 '이런 변동성은 처음 봤다.
I didn't expect that. Could that happen again?
Listen, I've got to be cautious about equities.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면서, 주식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취해야 한다고 느낍니다.
And by the way, I mean, I don't know if you people listened.
Dan Ives was on about a half an hour before Squawk Box, big bull on tech.
He said, you know, hey, this isn't over.
참고로, 약 30분 전에 댄 아이브스가 스쿼크박스에 출연했는데, 그는 기술주에 대해 강세론을 펼치며 '이건 끝난 게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This shock, the decline in orders, there's still uncertainty.
이번 충격과 주문 감소, 그리고 여전히 남아 있는 불확실성을 언급했죠.
Now, in my opinion, he's not going to put this back.
제 생각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 문제를 원상복구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But July 9th is still a date out there.
It appears the 10% tariff is permanent, which is still five times is what we had, you know, before the Trump presidency.
하지만 7월 9일이라는 중요한 날짜가 남아 있고, 10% 관세는 영구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이전에 비해 5배나 높은 수준입니다.
Although isn't that the 10% isn't that still a temporary permanent?
하지만 그 10% 관세가 여전히 '임시적 영구' 상태인 건 아닌가요?
If you can negotiate better deals and get to a position where you feel like there's less inequity, that that tariff would eventually get dropped on maybe country by country basis too?
더 나은 협상을 통해 불평등이 줄어들었다고 느껴지는 위치에 도달한다면, 이 관세도 국가별로 단계적으로 철회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Yes, hopefully that will.
네, 희망적으로 그렇게 되길 바랍니다.
That is across the board.
And we'll see what happens.
그것은 전반적인 상황에 해당하며,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겠죠.
Listen, even if we negotiate it, I mean, if every country said, let's go to free trade, all right, US would still have a trade deficit.
들어보세요, 설령 우리가 협상을 통해 모든 국가가 '자유무역으로 가자'고 한다 해도, 미국은 여전히 무역 적자를 가질 것입니다.
I mean, it's part of being a reserve currency.
We pump out capital, the world uses it.
They use it for transactions.
They use it for liquid assets.
이는 기축통화로서의 역할 때문입니다. 우리는 자본을 공급하고, 세계는 이를 거래와 유동 자산으로 사용합니다.
We had a $900 billion trade deficit.
우리는 9천억 달러의 무역 적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If Trump negotiates and gets two or $300 billion back, and all my colleagues said, that's crazy.
That would be unbelievable.
트럼프가 협상을 통해 2천억~3천억 달러를 되돌려온다고 해도, 제 동료들은 그것이 터무니없다고 말합니다.
That's less than 1% of GDP as best possible.
그것은 놀라운 일이겠지만, GDP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Well, the stock market fell 10%. It's still 10 times that amount, $3 trillion, $4 trillion below where it was before all this tariff mess is happening.
한편, 주식 시장은 10% 하락했으며, 이는 관세 문제 이전보다 3조~4조 달러 낮은 수준입니다.
And by the way, everyone, maybe recession is off the table.
I don't think slowdown is off the table.
그리고 참고로, 모두가 '경기 침체는 이제 논외다'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저는 경기 둔화가 논외라고는 보지 않습니다.
##And because... Yeah, I was going to say, yeah, I'm not going to say...
##Yeah, I mean, I don't think anyone is...
I mean, they're going to take recession off the table.
그러니까, 이제 경기 침체는 완전히 논외가 된 것 같습니다.
No question now the Fed is holding.
They don't have to worry.
They're going to be holding in May and holding until and till.
연준(Fed)은 현재 금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5월에도 금리를 유지할 것이고, 계속해서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Now, listen, with July 9th out there, they're probably holding on the June meeting, which is an important meeting too, because again of that uncertainty, so we're going to have hold, hold, hold.
7월 9일이라는 중요한 날짜가 있기 때문에 아마도 6월 회의에서도 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6월 회의는 또 하나의 중요한 회의인데, 이는 여전히 남아 있는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유지, 유지, 유지' 상태를 이어갈 것입니다.
We're not going to have lower interest rates on that.
We're not going to have lower interest rates on the refunding of $9 trillion on the debt.
금리가 더 낮아지지는 않을 것이고, 9조 달러 규모의 부채 재조정과 관련해서도 금리가 더 낮아질 가능성은 없습니다.
I don't want to paint a terrible scenario because I'm so happy.
He took off the reciprocal tariffs yesterday.
저는 너무 부정적인 시나리오를 그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어제 상호 관세를 철회한 것이 정말 기쁘기 때문입니다.
But again, I think it's going to be tough.
하지만 다시 말하지만, 상황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People are talking about new highs now, being an easy goal.
And I think the market's going to be treading water for quite a while on stocks and on bonds.
사람들은 이제 새로운 최고치를 달성하는 것이 쉬운 목표라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저는 주식과 채권 시장이 당분간 정체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 Lee - 관세 혼란기업 실적 전망 축소에 대한 '유예 기간' 효과 (1) | 2025.04.11 |
---|---|
Jeremy Siegel - 트럼프 관세 정책은지난 95년간가장 큰 정책 실수 (0) | 2025.04.07 |
Warren Buffet - 버크셔 해서웨이소셜 미디어에 퍼지고 있는 '허위 보고'에 대해 대응 (1) | 2025.04.06 |
Tom Lee - 실적이 예상보다더 잘 유지될 가능성 있다. (0) | 2025.04.05 |
Tom Lee - V반등 기대매그니피센트 7 대표 테슬라 (1) | 2025.03.31 |